- 포스팅 된 종목의 투자 판단은 본인에게 있으며 매수, 매도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음압병실
[ negative pressure room ]
병원 내부의 병원체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는 특수 격리 병실.
전염병 확산 방지 등을 이유로 환자를 외부 및 일반 환자들과 분리하여 수용하고 치료하기 위한 병실이다.
병실 내부의 공기압을 낮춰 공기가 항상 병실 안쪽으로만 흐르도록 설계해 바이러스나 병균으로 오염된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했다.
결핵, 홍역, 독감 등과 같은 공기를 매개체로 하는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필수 시설이다. 하지만 비용 부담이 커 대형병원들마저 설치를 꺼린다.
2020년 2월 23일 현재 음압병상은 755실, 1027병상이며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음압)은 161병실, 198병상이다.
이날 현재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의 지역별 가동률은 서울 77.4%, 부산 100%, 대구 100%, 인천 37.5%, 광주 75%, 대전 62.5%, 울산 20%, 경기 61.5%, 강원 100%, 충북 100%, 충남 85.7%, 전북 25%, 전남 0%, 경북 100%, 경남 75%, 제주 37.5%에 이른다.
현재 이미 가동률이 100%를 넘어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지역 공공병원 또는 민간종합병원의 음압병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출처 ㅣ [네이버 지식백과] (한경 경제용어사전)
경제성 있다던 ‘음압격리병실’ 부족한 이유...왜?
코로나19 확진자가 대량으로 발생함에 따라 음압격리병실에 대한 ‘공급 부족’ 사태가 심각해지고 있다. 충분한 음압격리병실이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원인으로, 의료계 일각에서는 병실을 설치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음압병실이 병원 수익성에 긍정적이라는 의견이지만 일선 의료진에선 이와 상반된 주장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지난 20일 오전만 해도 그 수가 두 자릿수였다. 하지만 당일 오후에 확진자가 100명을 돌파하며 세 자릿수가 됐고, 불과 사흘만인 23일엔 602명의 환자가 발생하며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때문에 확진자 관리에 필수인 ‘음압격리병실’에 대한 공급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현재 전국에 있는 음압시설은 지난해 12월 기준, 음압격리병실 755개, 음압격리병상 1,027개로 확인됐다. 그중에서도 국가지정 음압병상은 전체의 20% 수준인 198개(전국 29개 병원)뿐이다. 나머지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등의 민간병원에 해당한다.
이렇게 음압병상 수가 부족한 데에는 해당 시설을 유지‧관리하는데 드는 ‘높은 비용’에 있다. 문제는 이러한 비용을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 정부와 의료계의 온도 차가 극명하다는 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 2018년 음압격리병실 설치에 대한 경제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모두 음압격리병실을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에 ‘경제성’이 있다고 분석했고, 특히 상급종합병원이 종합병원에 비해 높은 경제성을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우선 음압격리병실을 설치한 후 20년 동안 신종 감염병이 3회 발생할 것을 가정했다. 또한 무위험이자율 2.5%와 수가인상율 1.5%를 반영해 순현재가치(NPV)를 분석했다. 그 결과, 상급종합병원의 순현재가치는 26억 8천6백만원, 종합병원은 2억 3천8백만원으로 산출됐다.
출처 : 팜뉴스
http://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043
음압병실 관련주
GH신소재
엔브이에이치코리아
오텍
우정바이오
신성이엔지
에스와이
댓글